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263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 낮추는 방법 당화혈색소(HbA1c) 검사는 당뇨 여부를 측정하는 데 보편적으로 쓰이는 검사로, 지난 3개월간 혈당이 얼마나 잘 조절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당화혈색소 정상 수치와 당화혈색소 수치 낮추는 법을 살펴봅니다. 당화혈색소란? 당화혈색소 검사는 간단한 혈액검사를 통해 당으로 덮여 있는 혈색소(헤모글로빈)가 몇 퍼센트인지 측정하게 됩니다. 당화혈색소는 2~3개월에 걸친 평균 혈당 수치를 잴 수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이 많거나 적은 식사 한두 번으로 결과에 큰 영향이 있지 않습니다. 당화혈색소 정상 수치 당화혈색소의 정상 수치는 얼마일까요? 대개 당뇨병이 없는 사람은 4.0~5.6% 사이로 당화혈색소 수치가 낮습니다. 당화혈색소 수치가 5.7~6.4% 사이라면 당뇨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 2023. 1. 17.
AI가 알려주는 인슐린 저항성 되돌리는 법 (feat. ChatGPT) 당뇨와 비만의 주범, 인슐린 저항성을 알고 계신가요? 인슐린 저항성은 우리 몸의 세포가 인슐린에 잘 반응하지 않게 된 상태를 말합니다. 인슐린은 핏속에 있는 당을 세포에 밀어 넣어 에너지로 쓰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세포가 인슐린의 말을 듣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일단 인체는 혈당을 어떻게든 처리해야만 합니다. 핏속에 계속 당이 돌면 혈관과 여러 조직들이 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췌장은 열심히 일해서 인슐린을 더 많이 만들어 내고, 이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은 더 강해집니다. 그런데 인슐린은 체지방을 저장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혈중 인슐린 수치가 올라가면(=고인슐린혈증) 살도 찝니다. 그러다가 결국 췌장에 지방이 쌓이기 시작하면 인슐린도 잘 나오지 않게 되고, 결국 혈당이 올.. 2023. 1. 16.
제2형 당뇨병, 완치 가능? 책 '당뇨코드' 요약 정리 제2형 당뇨병은 치유할 수 없는 만성 질환으로 단지 진행을 늦출 수 있을 뿐이라고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신장 전문의 제이슨 펑은 문제의 원인이 바로 인슐린이라고 지적하며 당뇨도 인슐린 저항성을 되돌리면 치료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책 '당뇨코드'에서 제가 밑줄 그은 문장들을 소개합니다. 쉽게 쓰인 책이므로 직접 책을 일독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근본적으로 제2형 당뇨병은 당을 과도하게 먹을 때 분비되는 인슐린이 너무 많아 생기는 병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우리는 당분과 정제된 탄수화물(당의 한 형태)을 줄여서 인슐린 수치를 낮춰야 한다. 제2형 당뇨병은 단순히 전신에 포도당이 너무 많아 생기는 넘침 현상이다. 과도한 포도당이 10년 혹은 20년 동안 몸에 쌓이면 어떤 일이 벌어.. 2023. 1. 15.
데이비드 싱클레어 연구팀, 동물 노화 역전 실험 성공 어제인 1월 13일, '노화의 종말' 저자인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생쥐의 노화를 역전시키는 데 성공했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미국 노화 연구팀, 실험실서 늙은 생쥐 '회춘' 성공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국 연구진이 생쥐의 노화 속도를 빠르게 만들거나 거꾸로 늙은 쥐의 노화를 되돌리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CNN ... www.yna.co.kr 하버드대 의대 블라바트니크연구소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팀은 이날 과학저널 '셀'(Cell)에서 늙고 눈이 먼 쥐의 시력을 되찾게 하고 뇌를 더 젊게 만드는 한편, 근육과 신장 조직을 더욱 건강하게 하는 등 회춘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눈먼 생쥐의 손상된 망막 신경절과 노화된 뇌, 근육, 신장 세포에 야마나카 .. 2023. 1. 14.
'조용한 ADHD'란? ADHD의 세 가지 유형 국내에서 '조용한 ADHD'라고 부르는 것을 영어로는 Inattentive ADHD, 혹은 ADD라고 합니다. 과잉 행동보다 부주의함이 두드러지는 유형의 ADHD를 이렇게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ADHD의 세 유형과 조용한 ADHD의 증상, 진단, 치료법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자료 출처: ADDITUDE 조용한 ADHD 조용한 ADHD는 한때 ADD라고 불렸는데, 주의력 부족, 산만함, 건망증, 미루는 행동 등이 나타나는 ADHD의 하위 유형입니다. 조용한 ADHD가 있는 사람은 집중을 유지하고, 상세한 지침을 따르고, 작업이나 활동을 조직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것처럼 보이는 실수를 자주 합니다. 이들은 외부 자극에 쉽게 주의가 흐트러지고 종종 물건을 잃어버립니다. 한번 시작한 일을 끝내.. 2023. 1. 9.
[스탠포드 연구] 메트포르민, 치매·섬망 노인 수명 연장한다 지난 2022년 11월 발표된 스탠포드 대학 연구진의 논문 내용을 소개합니다.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트포르민이 당뇨병 환자 연령에 따라 점점 더 많이 나타나는 섬망의 위험을 줄인다. 메트포르민을 복용하는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과 생존 가능성이 비슷하다. 치매와 섬망이 있는 경우, 메트포르민을 복용한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낮다. ※ 섬망(delirium): 환각, 과다행동(소리 지르기, 잠 안 잠, 주사기 빼내기), 초조함, 떨림, 주의력 저하, 언어능력 저하 등 인지 기능 전반 장애와 정신병적 장애가 나타나는 상태 메트포르민, '섬망' 위험 감소시킨다 정신 착란, 방향 감각 상실, 환각 등으로 대표되는 섬망의 발병률은 치매 환자에게 높게 나타나는데요. 제2형 .. 2023. 1. 7.
혈당이 오르면 해로운 이유, 쉽게 알려 드립니다 당뇨병은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상태가 나빠진 것이라 '침묵의 살인자'라고도 불립니다. 그런데 애초에 왜 혈당이 오르는 것이 몸에 나쁠까요?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가능한 한 알기 쉽게 알려 드립니다. 당뇨병이 생기는 과정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소화 기관은 음식에 들어 있던 포도당(설탕)을 핏속으로 옮깁니다. 그리고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세포들에게 문을 열라고 신호를 보내고, 혈액에 있는 포도당을 세포로 밀어 넣어서 에너지로 쓰게 합니다. 당뇨병은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제1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 자체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문제입니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라는 것이 생겨서 인슐린이 더 이상 세포에 포도당을 밀어 넣기가 힘들어진 것입니다. 제1형 당뇨병: 인슐린이 부족하다 .. 2023. 1. 6.
문틀 철봉(턱걸이봉)의 운동 효과와 구입 후기 많은 사람들이 턱걸이를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할 수만 있다면 턱걸이는 상체 운동 중에서 손꼽히게 좋은 운동에 해당하죠. 이 글에서는 문틀 철봉의 구입 후기와 운동 효과에 대해 간단하게 적어 보겠습니다. 1. 문틀 철봉, 왜 구입했나? 많은 분들이 그렇겠지만 저도 하루 중 실내에서 앉아 지내는 시간이 거의 대부분입니다. 때로 운동이나 산책을 하긴 하지만, 한 가지 모자라다 느낀 것이 있었는데 바로 당기는 동작이었습니다. 미는 동작이야 간편하게 바닥에서 팔 굽혀 펴기라도 하면 되지만 당기는 운동을 하려면 뭔가 도구가 필요합니다. 힘을 써서 당기는 동작을 할 기회가 거의 없다 보니, 언젠가부터 팔 안쪽 이두나 등 근육이 한가함을 이기지 못하고 나 좀 써 달라고 소리치는 것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생각.. 2023.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