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신동진' 쌀 품종 특징, 다른 쌀과 비교하면?

by 비타로그 2025. 3. 19.

신동진 쌀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인기 품종입니다. 국내 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데요. 이는 독특한 특성과 높은 경제성 때문입니다. 우선 신동진 쌀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쌀알의 크기입니다. 일반 쌀보다 1.3배나 크고 굵은 알갱이를 자랑하지요. 손으로 만져보면 수분 함량이 낮아 고들고들한 느낌이 확연히 다릅니다. 밥을 지었을 때도 쌀알이 서로 엉키지 않고 고슬고슬한 식감을 유지합니다.

 

 

신동진 쌀의 재배 특성

신동진 쌀은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재배되는 주력 품종입니다. 농가에서 특히 선호하는 이유는 수확량이 매우 높기 때문인데요. 10a(아르)당 570kg을 생산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벼의 주요 병충해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재배가 비교적 수월합니다. 비료도 적게 주는 '소비' 품종이라 재배 비용도 절감할 수 있지요. 다만 장기간 동안 한 품종만 집중적으로 재배하다 보니 최근에는 도열병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맛과 식감의 특징

신동진 쌀은 단백질 함량이 7.6%로 꽤 높은 편이며 등급은 '우'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쌀의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찰기가 줄어들고 식감이 단단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동진 쌀도 마찬가지로 찰기가 적고 단단한 식감을 보여줍니다. 그럼에도 구수한 밥맛이 특징이며 식어도 맛이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도시락용으로도 적합한 품종이지요.

 

다른 쌀 품종과 비교했을 때 신동진 쌀의 장점

  • 쌀알이 크고 단단해 씹는 맛과 식감이 좋습니다.
  • 볶음밥이나 덮밥 리조토 같은 요리용으로 매우 적합합니다.
  • 중식당이나 김밥 체인점 단체 급식 등 대량 조리에 적합합니다.
  • 한 번에 많은 양을 지어도 밥이 뭉개지지 않고 형태가 유지됩니다.
  • 식어도 맛이 크게 변하지 않아 도시락용으로 좋습니다.

 

신동진 쌀의 단점

  • 찰기가 적어 백미로 먹을 때 부드러운 식감을 원하는 사람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단백질 함량이 높아 전통적인 '맛있는 쌀' 기준(단백질 함량 낮음)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오랜 기간 한 품종만 집중 재배하여 도열병에 취약해졌습니다.
  • 다수확 품종이라 정부의 쌀 적정생산 대책으로 인해 2027년부터 종자 공급이 중단될 예정입니다.

 

신동진 쌀의 조리 특성

신동진 쌀은 조리 방법에 따라 맛이 크게 달라집니다. 무쇠솥이나 압력솥에서 고온으로 밥을 하면 맛이 더욱 좋아집니다. 강한 화력을 사용하는 조리법에 특히 적합하지요. 이런 특성 때문에 볶음밥이나 덮밥 리조토 등 고온에서 조리하는 요리에 이상적입니다. 특히 중식당에서 이 품종을 선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예전에는 냉동 볶음밥 제조에도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가격 문제로 수입산으로 대체되는 추세라고 합니다.

 

신동진 쌀의 시장 위치

신동진 쌀은 전통적인 맛있는 쌀의 기준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맛있는 쌀은 찰기가 높고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것이지요. 하지만 신동진은 그와 반대되는 특성을 갖고 있음에도 특정 요리와 조리법에 매우 적합한 품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대량 조리와 특수한 요리 용도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장점을 갖고 있어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정부 정책에 따라 2027년부터 종자 공급이 중단될 예정이라 향후 시장 변화가 예상됩니다.

 

참고: 수면의 질, 먹는 음식과 관계 있다?

참고: 주의해야 할 '옥살산' 많은 음식은?

참고: 혈관 석회화를 막아내는 10가지 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