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아무것도 안하기'의 강력함?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가 중요한 이유

by 비타로그 2025. 7. 7.

혹시 운전이나 샤워처럼 익숙한 일을 할 때, 문득 다른 생각에 잠겨 있는 자신을 발견한 적 없으신가요? 또는 가만히 소파에 앉아 멍하니 있는데, 온갖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지난 기억이 스쳐 지나가는 경험은요?

 

많은 사람이 이런 순간을 '시간 낭비'나 '집중력 부족'으로 여기곤 합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순간 뇌는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우 중요한 활동을 하고 있답니다. 바로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가 활성화되는 시간이지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란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는 우리가 특정 과제에 집중하고 있지 않을 때, 즉 '아무 생각 없이' 쉴 때 활성화되는 뇌의 여러 영역들을 말합니다. 이름 그대로 뇌의 '디폴트 모드(Default Mode, 기본 상태)'인 셈입니다. 마치 컴퓨터가 특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을 때도 백그라운드에서 시스템을 점검하고 정리하는 것처럼, 우리 뇌도 DMN을 통해 내면의 정보들을 처리하고 정리하는 중요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과거에는 휴식 상태의 뇌는 그저 비활성화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같은 뇌 영상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가 쉴 때 오히려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 뇌의 특정 부위들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것이 바로 DMN의 발견으로 이어졌습니다.

 

멍하니 있을 때 일어나는 일들

그렇다면 DMN이 활성화될 때 우리 뇌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걸까요? DMN의 활동은 단순히 쉬는 것을 넘어, 우리의 정신 활동에 필수적인 여러 기능을 담당합니다.

 

  •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그리는 '시간 여행'
    DMN은 과거의 경험을 회상하고, 그 기억들을 바탕으로 미래를 계획하거나 시뮬레이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어제 있었던 일을 떠올리거나, 주말 계획을 세우는 것과 같은 정신적 '시간 여행'이 바로 DMN 덕분에 가능한 것이지요.

  •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성찰의 거울'
    DMN은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는 '자아 성찰' 과정에 깊이 관여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일까?", "그때 왜 그런 감정을 느꼈을까?" 와 같은 내면을 향한 질문들이 바로 DMN의 활동 영역입니다. 더 나아가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추측하고 공감하는 능력과도 연결되어, 원활한 사회적 관계를 맺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창의성의 샘, '아이디어 발전소'
    샤워 중에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샤워 효과(Shower Effect)'도 DMN과 관련이 깊습니다. 우리가 한 가지 문제에만 몰두해 있을 때는 시야가 좁아지기 쉽습니다. 하지만 잠시 긴장을 풀고 멍하니 있으면, DMN이 활성화되면서 서로 관련 없어 보이던 뇌 속의 정보들을 자유롭게 연결하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하는 것입니다.

 

DMN과 '집중 네트워크'의 관계

물론 DMN이 만능은 아닙니다. 우리 뇌에는 DMN과 반대되는 역할을 하는 '집행 제어 네트워크(Executive Control Network)'가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우리가 공부를 하거나, 문제를 푸는 등 특정 목표에 집중해야 할 때 활성화됩니다.

 

건강한 뇌는 이 두 가지 네트워크 사이를 유연하게 전환하며 균형을 이룹니다. 집중이 필요할 땐 집행 제어 네트워크가, 휴식과 성찰이 필요할 땐 DMN이 전면에 나서는 식이지요. 하지만 이 균형이 깨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MN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과거의 부정적인 생각에만 빠져있는 '반추' 상태가 되어 우울증이나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비활성화되면 자아 성찰이나 창의적 사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압박 속에 살아갑니다. 잠시의 멈춤도 허용하지 않으려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멍때리기'는 종종 부정적인 시선으로 비춰지곤 합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그 시간이, 실은 뇌가 스스로를 정리하고, 과거를 통해 배우고, 미래를 준비하며, 창의성을 발현하는 매우 소중한 순간이라는 것을 말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의도적으로 '멍하니' 있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것은 결코 시간 낭비가 아닌, 당신의 뇌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이 될 것입니다.

 

참고: 당신이 몰랐던 '하루 1만보 걷기' 효능 7가지

참고: 매일 명상하면 뇌가 달라진다? 정말일까

참고: 치매를 막아내는 가장 좋은 음식 5가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