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초보를 위한 제미니 CLI 설치 & 세팅 가이드 (Win10 기준)

by 비타로그 2025. 7. 5.

안녕하세요! 구글의 강력한 AI 모델 '제미니(Gemini)'를 내 컴퓨터에서 직접, 키보드 입력만으로 다룰 수 있는 '제미니 CLI'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개발자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코딩을 한 줄도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이 가이드를 끝까지 따라오시면, 여러분은 더 이상 웹사이트에 접속할 필요 없이, 간단한 명령어로 제미니에게 일을 시키고 답변을 받을 수 있게 될 겁니다. 자, 그럼 차근차근 시작해볼까요?

 

 

 

1단계: 터미널 실행하기

가장 먼저, 컴퓨터에 직접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창'을 열어야 합니다. 윈도우에서는 이 창을 '명령 프롬프트(Command Prompt)' 또는 'PowerShell'이라고 부릅니다. 이름만 들어도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전혀 걱정하지 마세요. 그냥 '컴퓨터와 대화하는 채팅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화면 왼쪽 가장 아래에 있는 윈도우 시작 버튼(네 개의 사각형 모양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하세요.
  2. 키보드로 'cmd' 라고 세 글자만 입력합니다.
  3. 검은색 아이콘의 '명령 프롬프트'라는 프로그램이 보일 겁니다. 클릭해서 실행해주세요.

 

검은색 배경에 흰 글씨가 깜빡이는 창이 나타났다면, 첫 번째 단계를 성공적으로 마친 것입니다! 앞으로 모든 마법 같은 명령어는 바로 이 창에 입력하게 됩니다.

 

2단계: 제미니의 집, 'Node.js' 설치하기

제미니 CLI는 'Node.js'라는 프로그램 위에서 동작합니다. 제미니 CLI라는 손님을 우리 집에 초대하기 전에, 손님이 편히 쉴 수 있는 멋진 집(Node.js)을 먼저 지어주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1. 인터넷 브라우저(크롬, 엣지 등)를 열고 주소창에 nodejs.org 를 입력하여 접속합니다.
  2. 사이트에 접속하면 두 개의 초록색 버튼이 보입니다. 이 중 왼쪽에 있는 'LTS'라고 적힌 버전을 클릭하여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LTS는 'Long-Term Support'의 약자로, 가장 안정적이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버전이라는 의미입니다.
  3.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4. 설치 과정은 매우 간단합니다. 특별히 바꿀 설정 없이 'Next' > 'Next' > 'Install' 버튼을 계속 눌러주시면 됩니다.

 

[중요] 설치 확인하기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까 열어두었던 검은색 '명령 프롬프트' 창으로 돌아가세요. (만약 껐다면 1단계 방법으로 다시 켜주세요.)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한 후, 엔터(Enter) 키를 누릅니다.

 

node -v

 

'v20.15.0'과 같이 'v'로 시작하는 숫자가 나타나면 성공입니다! 만약 '명령을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컴퓨터를 재부팅한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3단계: 제미니 CLI 설치 ― 'npx'와 'npm'

이제 드디어 주인공인 제미니 CLI를 설치할 차례입니다. 여기서 'npx'와 'npm'의 차이를 확실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npx (임시 실행): `npx`는 프로그램을 내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딱 한 번'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간편하게 테스트해보기엔 좋지만, 매번 실행할 때마다 약간의 시간이 걸립니다.
  • npm (영구 설치): `npm`은 프로그램을 내 컴퓨터에 완전히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한번 설치해두면 언제든 즉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제미니 CLI를 계속 사용할 것이므로, 'npm'을 이용한 영구 설치 방법을 사용하겠습니다.

 

자, 이제 명령 프롬프트 창에 아래의 명령어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 후,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npm install -g @google/generative-ai/gemini-cli

 

(참고: 명령어의 '-g'는 'global'의 약자로, 컴퓨터 어디에서든 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라는 의미입니다.)
잠시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4단계: 제미니 사용 권한 'API 키' 발급받기

제미니를 사용하려면 'API 키'라는 일종의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구글이 "아, 이 사람이 바로 허가된 사용자구나!"라고 인식하게 해주는 열쇠 같은 것이죠. 발급 과정은 무료이며 간단합니다.

 

  1.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https://aistudio.google.com/app/apikey 주소로 접속합니다.
  2.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라는 창이 나타나면, 사용하시는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세요.
  3. 로그인 후, '+ Create API key'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버튼을 누르면 바로 긴 문자열(API 키)이 생성됩니다. 이 문자열이 여러분의 비밀 열쇠입니다. 옆의 복사 버튼을 눌러 복사한 후, 메모장 같은 곳에 안전하게 보관하세요. ≫≫≫ 이 키는 다른 사람에게 절대 보여주면 안 됩니다! ≪

 

5단계: 발급받은 API 키 등록하기

이제 우리가 발급받은 비밀 열쇠를 제미니 CLI에 등록해 줄 차례입니다. 그래야 제미니가 우리를 알아보고 작동하겠죠? 명령 프롬프트 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gemini auth

 

엔터를 누르면 API 키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아까 4단계에서 복사해두었던 긴 문자열(API 키)을 그대로 붙여넣기(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엔터를 누르세요. 'API key set successfully'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 성공입니다.

 

6단계: 드디어 첫 대화! 제미니와 채팅하기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이제 제미니와 자유롭게 대화할 시간입니다. 명령 프롬프트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보세요.

 

gemini chat

 

이제부터 여러분이 입력하는 모든 말은 제미니에게 전달됩니다. 한번 시험해볼까요?

 

  • "안녕? 넌 누구야?"
  • "대한민국의 수도에 대해 알려줘"
  • "강아지가 주인공인 짧은 동화 한 편 써줘"
  • "파이썬으로 현재 날짜를 출력하는 코드 보여줘"

 

이제 여러분은 웹사이트를 켤 필요 없이, 이 검은 창만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물어보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제미니 CLI가 강력한 점은 로컬에서 직접 파일 내용을 수정하거나 검색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적절한 권한 승인이 필요하지만요.

 

명령어가 궁금할 땐 /help, 한 세션의 긴 대화 내용을 요약하고 싶을 땐 /compress, 지금까지의 하루 사용량이 궁금할 때는 /stats를 입력하세요. 제미니와의 대화를 끝내고 싶을 때는 키보드의 Ctrl 키와 C 키를 함께 누르면 됩니다. 축하합니다! 여러분은 이제 제미니 CLI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AI 파워 유저'가 되셨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다른 글도 읽어보세요.

 

참고: 모든 LLM에 적용 가능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꿀팁 7가지

참고: 당신이 몰랐던 생산적인 챗지피티(ChatGPT) 활용법 7가지

참고: 콘텐츠 생산성 2배 만드는 챗지피티(ChatGPT) 프롬프트 5가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