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만은 현재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하는 OpenAI의 CEO로서 챗지피티(ChatGPT)의 개발을 주도한 인물입니다. 또 이전에는 세계적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Y Combinator의 대표를 역임하며 수많은 성공적인 기업들의 성장에 기여하기도 했는데요. 이처럼 샘 알트먼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탁월한 비전을 현실로 만들고, 방대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관리하는 극도로 생산적이고 영향력 있는 인물입니다. 샘 알트만은 여러 인터뷰 등을 통해 본인의 생산성 관련 팁을 공개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무엇에 집중할 것인가
- 방향성의 중요성: 속도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중요한 일에 집중해야 합니다.
- 독립적 신념: 세상에 대한 강하고 독립적인 신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고 시간 확보: 자신이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 위임의 기준: 다른 사람이 좋아하고 잘하는 일을 기준으로 업무를 위임합니다.
- 커리어 전환: 오랫동안 해온 일이 즐겁지 않다면 과감한 커리어 전환을 고려합니다.
- 주변 환경: 현명하고, 생산적이며, 긍정적이고, 자신의 야망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복리 성장: 커리어에 있어서도 복리 성장의 힘을 이해해야 합니다. 장기간에 걸친 작은 성장이 큰 차이를 만듭니다.
우선순위 정하기
- 3가지 핵심 원칙:
- "중요한 일을 반드시 완수한다."
- "어리석은 일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 "목록을 많이 만든다."
- 목표 목록 활용: 연간, 월간, 일일 목표를 담은 목록을 사용합니다.
- 목록 재작성: 우선순위에 대해 계속 고민하기 위해 목록을 자주 다시 작성합니다.
- 회의 최소화: 대부분의 회의와 콘퍼런스는 막대한 시간을 소모하므로 피합니다.
- 여유 시간 확보: 우연한 만남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위해 스케줄의 약 10%는 비워둡니다.
- 회의 시간 설정: 회의는 15~20분 또는 2시간으로 설정하고, 일반적인 1시간 단위는 피합니다.
- 시간 가치 평가: 자신의 시간을 소중히 여겨, 적은 돈을 아끼기 위해 몇 시간을 소비하지 않습니다.
- 연간 최적화: 하루가 아닌 연간 단위의 최적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수면과 운동
- 핵심 신체 요인: 생산성을 위한 가장 중요한 신체적 요인으로 간주합니다.
- 수면 추적: 수면 패턴 최적화를 위해 수면 트래커를 사용합니다.
- 수면 환경: 시원하고, 어둡고, 조용한 방에서 훌륭한 매트리스를 사용합니다.
- 취침 전 주의사항: 잠자리에 들기 전 식사나 음주를 피합니다.
- 고중량 운동: 주 3회, 1시간씩 고중량 웨이트 트레이닝을 합니다.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HIIT): 때때로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을 추가합니다.
영양
- 간헐적 단식: 매일 아침 식사를 거르는 방식으로 약 15시간의 단식을 실천합니다.
- 카페인 섭취: 기상 직후 에스프레소 1잔, 점심 식사 후 1잔 (총 약 200mg 카페인)을 섭취합니다.
- 설탕 회피: 설탕은 기분을 최악으로 만들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피합니다.
- 염증 유발 음식 회피: 염증을 악화시키거나 소화를 방해하는 음식을 피합니다.
업무 환경과 습관
- 업무 공간: 자연광이 들고, 조용하며, 방해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는 긴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일합니다.
- 타이핑 및 단축키: 타이핑 속도를 높이고 키보드 단축키를 익힙니다.
- 동기 부여 없는 시기: 때로는 동기 부여가 전혀 되지 않는 주가 있음을 예상하고, 그 시기가 지나가기를 기다립니다.
참고: 당이 정신을 흐리게 한다! | 슈가 브레인 포그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시디언이 생산성을 폭발적으로 올려주는 5가지 이유 (0) | 2025.06.08 |
---|---|
2025 VIG ETF 특징, 장단점, 주의사항 정리 (0) | 2025.06.06 |
LLM은 어떻게 사람처럼 말하게 되었을까? (0) | 2025.05.31 |
"T발 너 C야?" 무슨 뜻일까? 의미와 유래 (feat. MBTI) (0) | 2025.05.31 |
'드럼앤베이스' 정의, 장르 특징, 대표곡 정리 (0) | 2025.05.30 |
댓글